사이트 내 전체검색

“몇 번 출구요?”…“아니, 지하철 엘리베이터요!” > 제도개선

본문 바로가기

이슈&활동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몇 번 출구요?”…“아니, 지하철 엘리베이터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장총 작성일2023-12-19 17:04:36 조회1,248회

본문

2023052900067_0.jpg

(사진 출처: 땅집고 / 대구 사람들은 안 헷갈릴까…'공식 출구'만 23개인 지하철역 / 사진과 무관)

 

   ○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법에 의거해 철도차량(지하철) 역사 내 최소 1개 이상의 승강기 설치해야
   ○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는 '유일한 출구'인 승강기
   ○ 한편, 일반 출입구는 번호와 함께 방향이 나와있어 위치확인이 가능하나, 승강기는 그렇지 않아
   ○ 승강기에 출구번호를 부여하고 안내할 필요가 있어

 

약속장소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강남역 11번 출구, 홍대입구역 9번 출구 등이 떠오른다. 약속장소를 지하철역 몇 번 출구라고 하면 지도를 보지 않고도 찾아갈 수 있고 헷갈릴 일이 없다. 반면 지하철 엘리베이터는 어떨까. 밖에 어딘가에는 있는데 정확히 어디 있는지 모르겠는 경우가 다수다. 엘리베이터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유일한 출구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나 방향을 알 수 없어 약속장소는 물론 장애인콜택시 승차 위치를 정하기 어렵다.

실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장애인의 규모는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교통약자 이동실태조사(2021)에 따르면, 교통약자가 이용하는 지역 내 주 이용교통수단으로서 버스(51.6%) 다음으로 지하철(14.2%)이 많이 응답되었다. 그러나 지하철 이용은 불편한 것으로 나타난다. 장애인 실태조사(2020)에서는 교통수단 이용 시 어려운 이유로 절반 이상이 ‘버스·택시 등 대중교통이 불편(52.6%)’하다고 응답했다.


출입구는 이동편의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지하철에서의 출입구는 엘리베이터다. 엘리베이터는 미드블록에서는 도로 양측에 1개씩(지상횡단 가능 시 도로편측 1개), 교차로에서는 방향별로 4개(지상횡단 가능 시 2개 이상)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상가나 건물, 또는 다른 교통수단으로의 접근을 편리하게 해야 한다는 설명은 따로 없다. 장애인용 주차장에 근접하도록 설치한다고만 나와있으며,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과 공공보도로써의 기능을 위해 존재함에도 도로의 미관을 고려하도록 되어있다. 그래서인지 역과는 멀찍이, 뜬금없는 곳에 엘리베이터가 있는 걸 발견하곤 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출입구는 역내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나, 엘리베이터는 그렇지 않다. 일반적인 출입구는 지도를 보지 않고도 대략적인 방향과 위치를 알 수 있다. 보통 출구번호와 함께 위치 방향에 대한 안내까지 나와 있다. 예를 들면 홍대입구역 2번 출구(연남동), 홍대입구역 6번 출구(경의선 책거리, 창천동) 등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역 바깥의 어느 곳에 위치해있는지 알 수가 없다. 이로 인한 불편사항으로, 장애인콜택시 탑승 위치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어느 방향 엘리베이터에서 탑승할지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만약 횡단이 불가하고 잘못된 방향으로 나오면 다시 들어가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엘리베이터 출구번호에 대한 민원 제기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개별적으로 출구번호 부여에 대한 민원을 넣은 결과, 엘리베이터는 화재 시 가장 먼저 진입이 차단되어 출구에 대한 착오가 생길 것을 우려한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비상 상황 시에는 계단을 이용하도록 항상 교육을 받아왔고 상식적으로 인지하고 있다. 화재 등 발생 시 진입불가에 대한 안내 문구를 부착하면 될 일이다. 고작 그러한 이유로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유일한 출구인 엘리베이터 이용을 불편하게 해서는 안 된다.


누군가에겐 그저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수단에 불과하더라도, 누군가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출구’다. 출구에는 출구번호가 붙는 것이 맞지 않을까.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각 지역별 지하철 운영주체에 각 지하철 역사 내 엘리베이터 마다 출구번호를 부여할 것을 요청했다. 그 중 한국철도공사는 출구번호 부여와 관련하여 시범설치 역, 구성 시안 등 장애계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22명의 장애인단체 실무책임자이자 장애전문가들이 모여 일상 속 문제해결을 위해 논의하고 건의하는 협의체다. 

진행상황

  • ○ 각 지역별 지하철 운영주체(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에 건의서 발송(23.12.6)


    [내용]

    - 각 지하철 역사 내 엘리베이터 마다 출구번호(A, B, EV1, EV2 등)를 부여할 것을 요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제도개선 목록

211 문화누리 실물카드 유효기간 5년이어야 되나요

진행중

210 “화장실 가는게 무서워요” 위험천만 장애인 화장실

진행중

207 “차 못빼요!” 공항 내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주차에 무방비

진행중

204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리한 회의실! 대여비가 부담!

진행중

199 “몇 번 출구요?”…“아니, 지하철 엘리베이터요!”

진행중

198 내겐 너무 어려운 ‘본인확인’

진행중

197 장애인 금단 영역, 버스정류소

진행중

196 업무 중 화장실 공백은 알아서 해결하세요

진행중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